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은 광복 8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일제강점기, 나라를 되찾기 위해 수많은 선열들이 목숨을 걸고 싸웠던 역사의 현장이 바로 대구·경북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이번 광복절에는, 그날의 함성과 눈물을 기억하며 항일운동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세요.
1.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 & 기념관 (대구 중구)
- 역사적 의미
1907년, 나라의 빚을 갚아 국권을 지키자는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으로 퍼져나간 출발점. 서민부터 지식인, 여성까지 참여한 민족 자주운동의 대표 사례입니다. - 볼거리
국채보상운동기념관에서는 당시 사용한 의용금 영수증, 신문 기사, 참여자들의 유물 등을 볼 수 있습니다. - 방문 팁
대구 근대골목투어 코스에 포함하면 효율적으로 둘러볼 수 있습니다.
2. 서상돈 고택 (대구 중구)
- 역사적 의미
국채보상운동의 발기인 서상돈 선생이 살던 집으로, 지금도 그 시대의 한옥 구조가 보존되어 있습니다. - 볼거리
옛 생활공간과 함께 서상돈 선생의 업적 패널 전시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3. 신암선열공원 (대구 동구)
- 역사적 의미
일제에 항거하다 순국한 독립운동가 52위가 안장된 곳. 1969년 국립묘지로 지정되었으며, 독립유공자들의 영혼을 기리는 장소입니다. - 방문 팁
매년 3·1절, 광복절에는 추모 행사가 열려 역사교육의 현장으로도 좋습니다.
4. 구미 박정희 생가 인근 독립운동 유적지
- 역사적 의미
구미와 선산 일대는 의병 활동과 독립운동의 거점이었습니다. 특히 선산읍성 주변에서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항일 회합을 가졌던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5. 안동 임청각
- 역사적 의미
석주 이상룡 선생이 독립운동의 전초기지로 삼았던 곳. 임청각은 99칸의 대규모 고택이었으나, 일제가 중앙선 철도를 깔며 절반 이상을 훼손했습니다.
이곳에서 출발한 독립운동가만 9명 이상입니다. - 방문 팁
안동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습니다.
6. 청송 심산 김창숙 생가
- 역사적 의미
일제강점기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 심산 김창숙 선생의 생가. 3·1 운동 이후 상하이 임시정부에 합류해 활동했습니다. - 볼거리
고택과 함께 선생의 글, 독립운동 자료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 여행 포인트
- 코스 추천
대구 근대골목투어 → 국채보상운동 기념관 → 신암선열공원 → 안동 임청각 - 여행 팁
역사 현장을 방문할 땐, 당시 시대 배경을 간단히 공부하고 가면 감동이 두 배!
여름에는 모자와 물 필수 준비.
🌿 마무리
광복 80주년은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우리가 현재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화가 수많은 희생 위에 있다는 것을 되새기는 시간입니다.
이번 여름, 대구·경북의 항일운동 성지를 찾아 그날의 함성을 마음 깊이 새겨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