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면역항암제란?

    기존 항암제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방식이었다면, 면역항암제는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

    해 암세포를 스스로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유도합니다.

    대표적인 면역항암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약물명                                                                                                      작용 타겟
    키트루다 (펨브롤리주맙) PD-1
    옵디보 (니볼루맙) PD-1
    티쎈트릭 (아테졸리주맙) PD-L1
    임핀지 (더발루맙) PD-L1
    여보이 (이필리무맙) CTLA-4
    이들 약물은 암세포가 우리 면역세포를 속이는 ‘브레이크’를 해제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제대로 공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면역항암제, 나에게도 효과 있을까?]
    면역항암제, 나에게도 효과 있을까?]

    ✅ 그런데… 나에게도 효과 있을까?

    안타깝지만, 모든 암 환자에게 면역항암제가 효과적인 것은 아닙니다.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들이 중요합니다.

    🔍 1. PD-L1 발현율

    • PD-L1은 암세포 표면의 ‘숨기기 장치’ 역할
    • 암세포에 PD-L1 단백질이 많이 발현되어 있어야 면역항암제 효과 가능성↑

    📋 검사법:
    조직검사 후 면역조직화학염색 (IHC)으로 PD-L1 수치 확인
    보통 CPS ≥1%~50% 이상이면 반응 가능성↑


    🔍 2. MSI-H / dMMR 상태

    • MSI-H (Microsatellite Instability-High): 유전체 복제 오류가 많은 상태
    • 이럴 경우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더 잘 인식함

    📋 검사 대상: 대장암, 자궁내막암, 위암 등
    🧪 검사법: 조직검사 후 PCR 또는 NGS 기반 분석


    🔍 3. TMB (Tumor Mutation Burden)

    • 종양 돌연변이 부담이 높을수록, 면역항암제 반응률도 ↑
    • 보통 10 mut/Mb 이상이면 면역항암제 고려

    📋 검사법: NGS 기반 유전자패널 검사


    🔍 4. 암의 종류와 상태

    일부 암에서는 면역항암제가 1차 치료제로 승인되었으며,  다른 경우는 2차 이상, 또는 병용 요법으로 사용됩니다.

    암 종류                                           승인 여부 및 조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PD-L1 발현 필수)
    흑색종 1차 치료제로 널리 사용
    방광암 2차 치료제로 사용
    간암 면역+표적 병용요법 (아바스틴+티쎈트릭 등)
    위암 일부 고발현 PD-L1에서만 사용 가능
     

     

    💡 나에게 맞는지 확인하려면?

    면역항암제는 단순히 ‘쓰고 보는’ 치료가 아니라  사전에 정밀검사로 적합성을 따지는 치료입니다.

    필수 체크리스트:

    ☑ PD-L1 검사
    ☑ MSI / dMMR 검사
    ☑ TMB 검사 (NGS 유전자 검사)
    ☑ 기존 항암제 실패 여부
    ☑ 병용치료 가능성 검토

    면역항암제, 나에게도 효과 있을까?면역항암제, 나에게도 효과 있을까?면역항암제, 나에게도 효과 있을까?
    면역항암제, 나에게도 효과 있을까?

    ⚠️ 면역항암제의 단점은 없을까?

       장점                                                                     단점
    비교적 부작용 적음 효과가 없는 환자도 존재
    생존기간 연장 가능 비용 부담 큼 (고가 약제)
    일부 암에서 완치 사례 있음 면역 부작용: 갑상선염, 폐렴, 피부염 등 가능
     

    또한 면역항암제는 치료 효과가 늦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일부 환자들은 치료 중 ‘가짜 진행’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의료진의 경험과 판단이 중요합니다.

    👩‍⚕️ 면역항암제를 결정할 때, 꼭 필요한 것

    1. 정확한 조직 진단
    2. 정밀유전자 검사 (NGS, IHC 등)
    3. 종양내과·정밀의학 전문의 상담
    4. 건강보험 또는 산정특례 여부 확인

    💬 마무리하며

    “면역항암제는 '누구나'가 아니라 '누구에게 맞느냐'가 핵심입니다.”

     

    정밀의학의 시대, 암 치료는 더 이상 ‘모두에게 똑같은 항암제’를 주는 시대가 아닙니다.
    나의 암, 나의 면역상태, 나의 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 치료가 중요합니다.

    면역항암제가 나에게 적합한 치료인지, 지금 내 상태에 최선의 선택인지를 전문의와 함께 충분히 상담하고 결정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