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도 열차 참사 개요: 2명 사망·5명 부상

    2025년 8월 19일, 경북 청도군 경부선 철로에서 작업 중이던 작업자들이 무궁화호 열차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5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작업 승인 후 단 7분 만에 발생했습니다.
    작업자들은 최근 폭우로 피해를 입은 구조물을 점검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청도 열차 참사
    청도 열차 참사

    사고 원인: ‘열차 차단 없이 승인’된 위험 작업

    청도 사고의 핵심 문제는 안전 관리 절차 미비입니다.

    • 작업은 철로 2m 바깥에서 진행되는 ‘상례 작업’으로 분류되어 열차 차단 없이 승인되었습니다.
    • 작업자들은 철길 옆 자갈 위를 이동했지만, 선로 인근 이동 자체가 위험했습니다.
    • 설치된 열차 접근 경고 앱이 있었으나 정상 작동 여부는 확인되지 않음.

    전문가들은 “선로 근처 작업 시 위험이 상존하며, 안전 절차와 현장 관리가 미흡했다”라고 지적합니다.

     

     

     

    환경적 요인과 복합적 사고 원인

    • 사고 지점은 커브 구간으로, 시야 확보가 제한적이었습니다.
    • 전기 열차의 낮은 소음으로 인해 작업자들이 열차 접근을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처럼 현장 환경 + 절차 미비 + 감시 체계 한계가 복합적으로 사고를 유발했습니다.


    정부와 코레일의 대응

    국토교통부는 철도안전정책관, 철도안전감독관, 철도경찰 등으로 초기 대응팀을 현장에 급파했습니다.
    강희업 국토부 2차관은 “작업자 보호 장치와 안전대책이 있음에도 반복 사고가 발생, 코레일 안전 관리 전반에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대구고용노동청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며, 경찰과 코레일은 정확한 사고 경위와 작업자 안전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반복되는 철도 인재, 재발 방지 필요

    청도 사고는 2019년 밀양 사고와 유사한 전형적 인재형 사고입니다.

    • 안전 관리 체계 강화
    • 작업 승인 절차 개선
    • 감시 시스템과 경고 체계 점검

    모든 관계자가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해야 할 때입니다.


    결론: 철저한 안전 관리가 생명이다

    이번 청도 열차 참사는 단순 사고가 아닌, 철도 안전과 작업자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주는 사건입니다.
    모든 철도 관계자는 현장 안전 관리와 절차 준수를 최우선으로, 재발 방지와 예방 체계 개선에 힘써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