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중년 여성에게 더 빈번한 두 가지 질환
최근 들어 자주 숨이 가쁘고, 누워 있으면 더 답답하며, 눈은 이유 없이 뻑뻑하고 이물감이 느껴진다면 두 가지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바로 격막이환증(횡격막이완증)과 안구건조증입니다.
서로 연관 없어 보이지만, 호흡기 기능 저하와 눈물막의 불안정 모두 전신 건강의 이상 신호라는 점에서 연결됩니다. 특히 갱년기 이후 면역력과 조직 탄력성이 약해지며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 격막이환증이란?
횡격막이 정상보다 위로 솟거나 얇아져 폐를 누르게 되는 상태입니다. 선천적인 경우도 있지만, 호흡기 질환, 외상, 신경 손상으로 생기기도 합니다.
📌 격막이환증 증상
- 숨이 차거나 답답함 (특히 누웠을 때)
- 한쪽 가슴 움직임 감소
- 피로감, 가벼운 두통
- 소화불량, 복부 불편감
🩺 치료는?
- 경증: 경과 관찰, 폐 기능 강화 운동
- 중등도 이상: 격막주름술이라는 수술로 처진 횡격막을 고정합니다.
요즘은 흉강경 수술로 회복이 빠른 편입니다.
💡 영양사 팁
폐 기능에 도움이 되는 항산화 식품 (베타카로틴, 비타민C, 셀레늄)이 도움 돼요.
예: 고구마, 브로콜리, 오렌지, 마늘 등.
👁 안구건조증, 왜 자꾸 눈이 뻑뻑할까요?
눈물이 부족하거나 너무 빨리 증발해서 생기는 대표적인 눈 질환입니다.
특히 갱년기 여성에게 흔하고, 컴퓨터 사용이 많은 직장인, 수면 부족, 알레르기 체질에도 잘 생깁니다.
📌 안구건조증 증상
- 이물감, 따끔거림, 눈이 무겁고 피로함
- 심하면 과도한 눈물 흘림
- 흐릿한 시야, 눈부심
🩺 치료는?
- 보존제 없는 인공눈물 사용
- 항염증 안약 (사이클로스포린, 리피테그라스트 등)
- 눈물점 폐쇄술(Punctal Plug): 눈물 배출구를 막아 눈물이 오래 유지되게 함
- 오메가-3 보충이 눈물막 안정화에 도움
💡 영양사 팁
안구건조증에는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A, 루테인이 도움 됩니다.
예: 아마씨유, 등 푸른 생선, 당근, 달걀노른자, 시금치 등.
🧘♀️ 건강한 숨과 촉촉한 눈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팁
복식호흡 | 폐 아래쪽까지 공기 순환, 횡격막 강화 |
실내 습도 40~60% 유지 | 눈물 증발 방지 |
눈 주위 온찜질 | 마이봄샘 기능 개선으로 눈물막 유지 |
충분한 수분 섭취 | 전신 순환과 눈 건강 모두 도움 |
스트레칭 및 가벼운 운동 | 횡격막 이완, 순환 개선 |
✨ 마무리하며
호흡이 답답하고 눈이 뻑뻑한 건 단순히 피곤해서만이 아닐 수 있습니다.
중년 여성의 몸은 작은 불편으로도 건강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와 영양·생활습관 관리로 몸의 균형을 되찾아보세요.
🤍 “내 몸을 잘 돌보는 습관이 나를 더 건강하게 지켜줍니다.”